OneDev

[Club K-MOOC] 5. [한국어발음교육론] 맛보기 - 한국어 자음과 모음 본문

기타/Club K-MOOC 서포터즈

[Club K-MOOC] 5. [한국어발음교육론] 맛보기 - 한국어 자음과 모음

one_dev 2022. 12. 17. 14:09

 

이번 시간에도 [한국어발음교육론] 강좌에서 학습하는 내용을 일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까합니다~

[한국어발음교육론] 강좌에서는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배우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어의 기본중에 기본이라 볼 수 있는 자음과 모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① 자음

한국어의 자음은 크게 3 가지 기준을 통해 분류됩니다

- 조음 위치 : 자음을 5개 유형으로 구분함(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 조음 방법 : 마찬가지로 자음을 5개 유형으로 구분함(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 발성 유형 : 장애음을 평음, 경음, 격음 으로 구분함

 

글로만 봐서는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더 직관적으로 받아들이실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이제 각각의 구별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조음 위치 : 조음 위치에 따라 자음을 5개 유형으로 구분함

 (1) 양순음 : 두 입술을 맞대거나 근접시켜 내는 음 (ㅂ, ㅃ, ㅍ, ㅁ)

 (2) 치조음(치경음) : 혀끝을 치조(치경) 부위에 대거나 근접시켜 내는 음 (ㄷ,ㄸ,ㅌ,ㅅ,ㅆ, ㄴ, ㄹ)

 (3) 경구개음 : 혓몸을 경구개에 대거나 근접시켜 내는 음 (ㅈ, ㅉ, ㅊ)

 (4) 연구개음 : 혀뿌리를 연구개에 대거나 근접시켜 내는 음 (ㄱ, ㅋ, ㄲ, ㅇ)

 (5) 후음 : 성대를 이루는 두 개의 인두를 맞대거나 근접시켜 내는 음 (ㅎ)

 

2) 조음 방법 : 조음 방법에 따라 자음을 5개 유형으로 구분함

 (1) 파열음 :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 조음체가 조음점에 닿으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트리면서 내는 음
  • 파열음의 조음 단계 : 폐쇄 -지속 -파열 의 3단계
  • 가장 기본적인 자음
  • 파열음이 없는 언어는 존재하지 않음
  • 전체 자음 중 수가 가장 많음

 (2) 마찰음 ㅅ, ㅆ, ㅎ

  • 파열음과 달리 공기의 흐름이 단절되는 단계가 없음
  • 조음체를 조음점에 근접시켜 그 틈사이에서 공기가 마찰을 일으키도록하여 내는 음

 (3) 파찰음 : ㅈ, ㅉ, ㅊ

  • 파열음과 마찰음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음
  • 조음체가 조음점에 닿으면서 공기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차단됨 ( ≒ 파열음)
  • 차단된 공기를 개방할 때 틈을 조금만 두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발음 ( ≒ 마찰음)
  • 파열과 마찰이 동시에 일어남 → 파찰음이라 함

 (4) 비음 ㄴ, ㅁ, ㅇ

  • 폐쇄 - 지속 - 파열 의 단계를 거침 (  파열음)
  • 비강으로도 공기가 흐름   비강의 울림을 동반함

 (5) 유음 :

  • 자음 중에서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는 정도가 가장 약함
  • 유음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가지로 다시 구분될 수 있음

  • 한국어 유음 ㄹ 은 음석적 환경에 따라 탄설음 ( R ) 로 실현되거나 설측음( L ) 로 실현됨
  •  

3) 발성 유형

(1) 파열음과 마찰음 : 평음, 경음, 격음으로 구별됨

(2) 마찰음 : 평음과 경음으로 구별됨

 

 

발성유형에 따른 구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한국어 발음 교육론] 강좌에서 보다 심도있게 학습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② 모음

※ 모음 : 자음과 달리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는 소리

1) 단모음 : 발음할 때 처음부터 끝까지 입모양이 변하지 않는 모음

(1)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표준 발음법)

  • 한국어 화자는 "ㅔ" 와 "ㅐ' 를 구별하지 못함
  • 한국어 화자는 "ㅟ" 와 "ㅚ" 를 단모음이 아닌 이중모음으로 발음함

 (2) 단모음의 구별 기준

 

 1. 혀의 전후 

  • 전설모음 : 혀의 최고점이 경구개 근처에 놓이는 단모음 (ㅑ, ㅔ, ㅐ, ㅟ, ㅚ)
  • 후설모음 : 혀의 최고점이 전설모음보다 뒤에 놓이는데 그 위치는 대략 연구개인 단모음 (ㅡ, ㅓ, ㅏ, ㅜ, ㅗ)

2. 혀의 고저

  • 혀의 고저는 입의 벌어짐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
  • 혀의 높이가 높을수록 입은 적게 벌어지고 혀의 높이가 낮을수록 입은 많이 벌어짐
  • 고모음 : ㅣ, ㅟ, ㅡ, ㅜ
  • 중모음 : ㅔ, ㅚ, ㅓ ,ㅗ
  • 저모음 : ㅐ, ㅏ

3. 입술의 모양(돌출 정도)

  • 원순모음 : 입술을 동그랗게 오므리고 소리를 내는 단모음 (ㅟ, ㅚ, ㅜ, ㅗ)
  • 평순모음 : 입술을 오므리지 않고 소리를 내는 단모음(ㅣ,ㅔ, ㅐ, ㅡ, ㅓ, ㅏ)

 

 

2) 이중모음

(1) 발음 중 입 모양이 변하는 모음

(2) 반모음(활음, 반자음)과 단모음의 연쇄

(3) 반모음 :

  • 자음과 단모음의 중간적 특성을 갖는데 본질적으로는 단모음에 더 가까움
  • j 와 w :

(4) 한국어 이중모음의 유형

  • < j-계> 이중모음 : ㅑ, ㅕ, ㅛ, ㅠ, ㅖ, ㅒ
  • < w-계> 이중모음 : ㅘ, ㅝ, ㅙ, ㅞ
  • 기타 이중모음 : ㅢ

여기까지 한국어 발음체계에서의 자음과 모음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 [한국어 발음 교육론] 강좌를 통해 더 배우실수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것같습니다 :)

(아래의 링크를 통해 강좌소개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KHUk+KH504+2022_T2_2/abou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