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98)
OneDev
switch 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switch ( 변수 ) { case 값1 : // 세미콜론(;) 이 아니라 콜론(:) 임에 유의 명령들 break; case 값2: 명령들 break; .... .... case 값n: 명령들 break; default:// if-else 구문에서 else와 같은역할 명령들 break; } (1) 맨 윗줄 ( 변수 ) 란에는 아래에 나오는 값1, 값2,.... 들과 비교할 변수가 들어가게 된다. (2) switch 문에 사용될 변수는 반드시 정수 데이터를 보관하는 변수여야 한다. 다시말해 변수 부분에 들어갈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은 char. short, int, long 중에 하나여야 한다. 만약 float 이나 double 등의 데이터 타입을 가진 변수를 ..
앞선 포스팅에서우리는 for 과 while 반복문을 학습하였다. 반복문에서는 조건식을 통해 해당 반복문을 얼마나 반복할 지 알려주게되는데, 만약 조건식이 항상 참이라면 반복문을 영원히 돌리게된다. 참고로 반복문의 조건식에서 식의 값이 0이 아니거나, 아예 조건문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반복문은 조건을 항상 참이라 인식한다. for(int i = 3, i > 1;i++) // 조건식이 항상 참인 경우 for(;;) // 조건식이 아예 명시되지 않은 경우 // 위 두 경우 모두 반복문이 끝나지 않는 루프에 빠지게 된다 1. break break 는 이러한 루프를 빠져나가기 위한 명령어 이다. break 는 실행되기만 하면 조건에 상관 없이 반복문을 탈출하게 된다. (즉, break 아래의 내용들은 실행되지 않..
이번 포스팅에서는 for문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반복문인 while 반복문과 do while 반복문에 대해 알아보자. 1. while 문 while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기본 형태 while (조건식) { 명령들 } // (예시) while (조건){ 명령1; 명령2; ... ... } "조건식" 에는 for 문에서 그랬던 것처럼 반복문을 언제까지 수행할것인지 알려주는 조건이 들어간다. int i=0; while (i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복문 중 하나인 for문에 대해 알아보자. ▣ 기본 구조 for 반복문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자 (1) 초기식 : 초기식에서는 제어 변수가 초기화 된다. for문은 기본적으로 반복문이고, 반복문에서는 반복을 얼마나 해야할지 알려줘야 한다. C언어에서는 반복문이 얼마나 반복되어야 할지를 나타내기 위해 "제어변수" 라는 것을 도입하였다. 초기식에서는 이 제어변수의 초기값을 지정해준다. for(int i = 0;......) {} // 제어변수 i 의 초기값을 0으로 설정했다! 이하 내용에서는 편의상 제어변수를 i 로 표기하도록 하겠다. (2) 조건식 : 조건식에는 i 가 만족해야할 특정한 조건을 적어준다. for 반복문은 i 가 이 조건을 만족하는 ..
지난 포스팅에서 if 조건문에 대해 학습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건문의 조건 부분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산자인 논리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논리 연산자(Logical Operator)란 어떤 조건식의 참 거짓을 판별하며 참이면 1, 거짓이면 0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논리연산자에는 크게 논리곱연산자(&&), 논리합연산자(||)가 있다. 1. 논리곱 연산자(AND) - && 두 값이 모두 참이이야 1을 반환하고 둘 중 하나라도 참이 아니라면 0을 반환한다. int n = 1, m = 3; if(n==1 && m==2) // m==2 라는 조건이 거짓이므로 0을 반환한다 if(n==1 && m ==3) // 두 조건 모두 참이므로 1을 반환한다 ※ 왜 번거롭게 & 대신 &&로 논리곱 연산자를 표현하는 것일..

1. if 조건문이란? 조건문이란 말 그대로 특정 조건을 만족할때 실행되도록 하는 문장이다. 조건문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if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2. if 조건문의 기본 구조 if 조건문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if : if 조건문의 시작을 알리는 부분이다. (2) 조건은 소괄호() 안에 작성한다. 이 때 조건이 참이면 1을, 거짓이라면 0을 반환한다. 따라서 조건문을 if (1) 또는 if (0) 과 같이 작성할 수 도 있다. (3) 마지막으로 수행할 동작을 중괄호{} 안에 작성한다. ("명령" 이라고 한다) if 조건문은 if 문 속의 조건이 0(거짓)인지 1(참) 인지에 따라서 실행유무를 판별하는 조건문인것이다. 간단한 if 조건문의 예시를 보자. i..

이번 포스팅에서는 C 에서 문자 혹은 숫자를 입력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C에서 무언가를 입력받을 경우에는 scanf 함수를 이용한다. 1. scanf 함수란? scanf 함수는 C 의 표준 입력 함수로, 다양한 데이터를 서식에 맞춰 입력받을 수 있게 해준다. scanf 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는 아래와 같다. 헤더 : stdio.h 원형 : scanf("변환문자", &변수명); scanf 함수는 우리가 입력을 하기 전까지 계속 기다리며, 엔터를 눌러야지만 입력으로 처리된다. (예) #include int main(){ int a; scanf("%d", &a); // a 라는 정수형 변수를 입력 받는다 return 0; } 2. scanf 함수 사용법 위에서도 얘기했지만, 기본적인 틀은 아래..

1. 서론 우리는 지금까지 변수를 이용해 여러가지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하였다. 숫자와 연산자만 이용해 모든 연산을 할 수 있다면 참 편하고 좋으련만 애석하게도 C에서는 연산을 할 때 제약이 있다고한다. 그 이유는 변수의 타입 마다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정해져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int형 변수는 -2147483648 부터 2147483647 까지의 정수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다. 그렇다면, 보관할 수 있는 크기를 넘어가는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하고자 하면 무슨 일이 발생할까? 앞서 int 형 변수가 21447483647 까지의 정수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다 했으므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한 뒤 실행시켜보자. #include int main() { int a = 21474836..

연산자 중의 하나인 비트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비트연산자는 비트(bit) 하나하나에 대해 연산을 하는 연산자이다. (Recall : 비트 = 컴퓨터에서 숫자의 최소 단위 / 1비트는 0또는 1을 나타냄) 이렇게 설명하면 무슨말인지 잘 와닿지 않을 확률이 높기때문에 일단 비트연산자에 어떤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1. AND 연산(&) AND 연산은 아래와 같은 규칙을 통해 연산되는데, 집합론 초반 명제에 대해 배울때 사용했던 truth table과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으니 수학을 전공하신 분들이라면 직관적으로 이해하실 수 있을 듯 하다. 연산 결과 1 & 1 1 1 & 0 0 0 & 1 0 0 & 0 0 비트연산은 각 자리를 연산한다. 아래는 예시로 1010 & 0011 의 연산 과정을 나타낸 ..

이번에는 C언어에서 컴퓨터에 어떻게 연산을 명령하는지 알아보자. 이를 위해 산술연산자, 대입연산자, 비트연산자 등등에 대해 학습해볼 계획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술연산자와 대입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하자. 1. 산술연산자 (Aritmetic Operator) 산술 연산자는 가장 기본적인 연산인 사칙연산에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더하기, 곱하기, 빼기, 나누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술 연산자들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연산자 연산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몫 구하기) % 나머지 구하기 +참고) 나눗셈(/) 연산을 나눗셈에서 몫을 출력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반환값의 자료형을 정수형으로 지정하면 몫에 해당하는 정수부분만 출력되기 때문이다. #incl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