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Dev
[Git] 빔(Vim) 사용하기 본문
▣ 빔(Vim) 이란?
-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서 편집기
▣ 빔 사용하기
- 현재 디렉토리에 파일 생성
vim + 파일명 을 이용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현재 디렉토리에 test.txt라는 파일을 생성해보자.
$ vim test.txt
※ 이미 존재하는 파일의 이름을 적을 경우 해당 파일이 열리게 되고, 기존에 없던 파일의 이름을 적으면 새 파일이 생성된다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 빔(Vim) 은 입력모드와 ex 모드로 나뉜다
- ex 모드 : 저장, 종료 가능
- 입력 모드 : 텍스트 입력, 수정 가능
위의 사진은 ex 모드로, 텍스트 입력을 위해서는 입력 모드로 바꿔줘야 한다.
반대로 텍스트 입력후 저장 및 종료하기 위해서는 ex 모드로 돌아갸야 한다.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ex 모드 → 입력모드 | A 또는 I 입력 |
입력 모드 → ex 모드 | Esc 키 입력 |
※ 텍스트 입력하기 :
A 또는 I 키를 입력해 입력모드로 전환한다.
문서 하단에 INSERT 란 표시가 나와 있으면 입력모드란 뜻이다. (없으면 ex 모드)
※ 내용 저장하기
(1) Esc 키를 눌러 ex 모드로 돌아간다.
(2) 이 상태에서 콜론(:)을 입력하면 INSERT가 있던 자리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3)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해 저장 또는 종료한다.
ex 모드 명령어 | 설명 |
: w | 편집중이던 문서를 저장 |
:q | 편집기를 종료 |
: wq | 편집중이던 문서를 저장하고 종료 |
: q! | 문서를 저장하지 않고 편집기를 종료 |
※ 텍스트 문서 내용 확인하기 :
cat 명령어를 사용하면 텍스트 문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cat 파일이름
'Linux\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Linux 터미널 명령어(Unix) (0) | 2023.08.18 |
---|---|
[Git] 깃 저장소 만들기 (0) | 2023.02.04 |
[Linux] pwd, ls, clear, cd, mkdir (0) | 2023.02.02 |
[Git] 깃(Git) 이란? (설치부터 사용자 이름 등록까지) (0) | 2023.02.0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