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Dev

[Git] 깃(Git) 이란? (설치부터 사용자 이름 등록까지) 본문

Linux\Git

[Git] 깃(Git) 이란? (설치부터 사용자 이름 등록까지)

one_dev 2023. 2. 2. 23:04

▣ 1. 깃(Git)이란 ?

⊙ 깃(Git)

- 2005년 리누스 토발즈가 처음 개발

- 특징

  •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
  • 사용자들의 파일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 개발자들은 깃을 통해 수많은 소스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

 

버전관리의 필요성

- 업데이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소스코드에 언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기록하고 추적할 수 있어야 함.

 

  깃의 특징

1.  버전관리

2.  백업

3.  협업

 

※ 버전 관리(Version Control)

  • 문서를 작성한 뒤 원본을 남겨두고 수정한 내용을 저장해야하는 경우 ▶ 주로 "다른 이름으로 저장" 사용
  • 깃을 사용한다면?   파일 이름은 유지하면서 문서를 수정할 때마다 언제 수정했는지, 어떤 것이 변경되었는지 기록 가능

※ 백업(Backup)

  • 백업이란? ▶현재 내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다른 곳에 복제 (USB, 외장하드 등)
  • 깃허브(GitHub) ▶ 깃 파일을 위한 원격 저장소 또는 온라인 저장소

※ 협업(Collaboration)

  • 깃허브와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사용하면 여러사람이 함께 일할 수 있음
  • 깃허브의 장점
    •  팀원들이 파일을 편하게 주고 받으면서 일할수 있음 
    •  누가 어느 부분을 수정했는지 기록에 남음

 

2. 깃 프로그램의 종류

 

※ 깃허브 테스크톱(GitHub Desktop)

  • 깃허브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 구현
  • 사용이 쉬워 누구나 배울 수 있음
  •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

※ 토터스깃(TortoiseGit)

  • 윈도우 전용 프로그램
  • 윈도우 탐색기의 빠른 메뉴에 추가되는 프로그램

※ 소스트리(Source Tree)

  • 깃의 기본 기능부터 고급 기능까지 제공
  • 사용법은 복잡하지만 익숙해지면 자유롭게 깃을 활용할 수 있음

※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CLI)

  • 터미널에 직접 명령을 입력해서 깃을 사용하는 방식
  • 리눅스 명령어 및 깃 명령어를 알아야 사용 가능
  •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이 방식으로 깃을 사용

※ 더 많은 깃 프로그램 :

  • httpsL//git-scm.com/downloads/guis

 

3. 깃 설치하기 및 환경설정

(1)   https://git-scm.com/ 로 접속 -> Download 클릭

(2) 운영체제에 맞는 아이콘 클릭 후 안내에 맞춰 설치 진

(3) 설치가 끝났으면, 윈도우 검색 창에 git 입력 후 [Git bash] 클릭

 

(4) 사용자 정보 입력(이름, 이메일)

띄어쓰기에 유의하자

 

 

'Linux\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Linux 터미널 명령어(Unix)  (0) 2023.08.18
[Git] 깃 저장소 만들기  (0) 2023.02.04
[Git] 빔(Vim) 사용하기  (0) 2023.02.02
[Linux] pwd, ls, clear, cd, mkdir  (0) 2023.02.02
Comments